Structure Story for Makers

펀치카드 들고 내려간 지하실에서 디자인 시스템 회의실까지, 문서 구조를 다듬어 온 사람들

1960년대 MIT 지하에선 “각주 맞추다 밤 샌다”는 탄식이 새어 나왔고, IBM 연구소에서는 “제목 한 줄 바꾸면 보고서가 다 무너져요”라는 푸념이 쌓였습니다. RUNOFF와 GML은 그런 밤샘을 줄이기 위해 태그와 지시어를 붙잡았고, ISO 회의장에서는 “같은 구조인데 서로 못 읽는다”는 외침이 SGML을 낳았습니다.

CERN 연구원이 “연구 노트를 서로 바로 열고 싶다”며 HTML을 제안했고, 브라우저 엔지니어는 DOM과 HTML5로 “문서를 데이터처럼 다뤄보자”고 맞장구쳤습니다. 요즘 회의실에서는 디자인 시스템 팀이 “랜딩 페이지마다 구조와 랜드마크를 통일하자”며 커스텀 엘리먼트를 배포합니다.

연도 버튼을 눌러 “어떤 문제가 있었길래 이런 태그가 생겼을까?”를 들어보세요. 생소한 용어가 나오면 바로 옆에서 풀어 드리고, 사람들의 대화와 선택이 구조를 어떻게 바꿨는지 이야기로 안내합니다.

연도 버튼을 누르면 같은 화면에서 자세한 이야기를 읽을 수 있는 대화 상자가 열립니다.

1960s

야근을 줄이려던 지하실 실험

“각주 맞추다 눈이 쑤신다”는 하소연이 나오자 연구원들은 메인프레임에게 제목과 문단을 맡기려 RUNOFF와 GML 같은 지시어를 붙였습니다.

1970s

“같은 문서인데 태그가 달라요”

학회와 정부 기관이 한자리에 모여 “이식 가능한 언어와 DTD가 필요하다”며 SGML 초안을 굽고 다듬었습니다.

1980s

표준을 챙긴 뒤 링크를 심다

SGML이 공식화되자 “이제 가벼운 응용을 만들어보자”는 말이 나왔고, CERN 연구원은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심은 HTML 메모를 돌렸습니다.

1990s

“같이 읽자”는 약속과 DOM 실험

IETF와 W3C가 HTML 2.0과 DOM을 만들며 “브라우저마다 다르게 보이면 곤란해요”라는 요구를 코드와 API로 맞췄습니다.

2000s

웹 문서를 앱답게 만들자

브라우저 팀이 WHATWG를 세워 “폼과 인터랙션을 더하자”고 외쳤고, 커뮤니티는 마이크로포맷으로 일정과 연락처를 태그로 꺼냈습니다.

2010s

시맨틱과 접근성의 동거

HTML5 권고안과 WAI-ARIA 패턴이 “랜드마크를 분명히, 역할을 정확히”라는 원칙을 정착시키며 구조와 접근성을 함께 묶었습니다.

2020s

디자인 시스템으로 구조를 배포하다

“랜딩마다 다시 짜지 말자”는 요구에 커스텀 엘리먼트와 퍼블릭 가이드가 응답하며 구조 관리를 코드와 문서로 나눠 가졌습니다.

더 깊이 읽을 거리

SGML, HTML, 접근성 패턴을 다룬 대표 레퍼런스를 모았습니다. 원문 사양을 넘나들며 구조의 변화를 추적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