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action Story for Makers

“브라우저에서 얼마나 멀리 갈 수 있을까?”를 묻던 사람들

1995년 넷스케이프 회의실에서 버튼을 누른 동료가 외쳤습니다. “잠깐만, 경고창이 바로 뜨네?” 그렇게 JavaScript가 문서를 살아 움직이게 했습니다. 몇 년 뒤 Outlook Web Access를 만들던 팀은 “새로고침 없이 메일을 보여주자”라며 XMLHttpRequest를 감쌌죠.

2005년엔 제품 매니저들이 회의실에서 구글 지도를 돌려보며 “이게 진짜 웹이야?” 하고 놀랐고, Node.js를 본 개발자들은 “이제 서버도 같은 언어로 짤 수 있겠다”고 밤새 데모를 만들어 올렸습니다. React와 Service Worker는 “컴포넌트로 조립하고, 인터넷이 끊겨도 동작하게 하자”는 새로운 습관을 남겼습니다.

오늘날 WebAssembly와 WebGPU 팀은 “설치 없이 게임과 AI를 돌릴 수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합니다. 아래 연대를 눌러 당시 엔지니어가 어떤 문제를 붙잡고 있었는지, 그리고 어떤 말로 서로를 설득했는지 가볍게 들어보세요.

연대기 버튼을 누르면 같은 화면에서 자세한 이야기를 읽을 수 있습니다.

1990s

“새로고침 없이 움직이게 해보자”

브라우저에 JavaScript가 들어오고 XMLHttpRequest가 더해지자, 개발자들은 폼 검증과 데이터 갱신을 즉시 처리하는 실험에 뛰어들었습니다.

2000s

“웹앱”이라는 이름이 붙다

Ajax 열풍이 일어나고 Node.js가 등장하면서 “브라우저와 서버를 같은 언어로 돌리자”는 목소리가 커졌습니다.

2010s

“컴포넌트로 조립하고, 끊겨도 버티자”

React가 상태 중심 UI를 보여주고 Service Worker가 오프라인 경험을 가능하게 하며, 웹앱이 네이티브 앱과 맞붙기 시작했습니다.

2020s

“설치 없이도 고성능으로”

WebAssembly와 WebGPU가 안정화되자, 팀들은 “브라우저만 열면 게임과 AI가 돌아간다”고 실시간 협업 도구를 데모하기 시작했습니다.

더 깊이 읽을 거리

JavaScript, SPA, WebAssembly를 다룬 대표 문서입니다. 기술 변화가 사용자 경험을 어떻게 바꿨는지 비교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