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0
홀러리스 천공 카드 시스템
통계국 서기 헬렌은 “이번엔 제때 끝낼 수 있을까?”라며 걱정했지만, 허먼 홀러리스의 펀치 카드와 전기 집계기가 기다리던 답을 내놓았습니다.
정부는 1880년 인구조사 집계를 끝내는 데 7년을 써버렸습니다. 통계관 헬렌은 “이대로 가면 다음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또 조사를 해야 해요.”라며 한숨을 쉬었습니다. 통계청을 드나들던 허먼 홀러리스는 수레에 전기식 카운터와 펀치 카드를 싣고 와 직접 시연했습니다.
“구멍이 뚫린 위치를 바늘로 읽으면 숫자를 자동으로 더할 수 있습니다.”라는 설명이 끝나자, 헬렌은 스위치를 눌러 카운터가 돌아가는 모습을 보며 미소를 지었습니다. 덕분에 1890년 인구조사 결과는 2년 만에 발표될 수 있었고, 통계국은 데이터를 기계에 맡기면 시간이 크게 줄어든다는 사실을 체감했습니다.
펀치 카드는 각 칸을 구멍으로 표현해 숫자와 속성을 기록했습니다. 전극이 구멍을 통과하면 전류가 흐르고, 그 신호를 계수 장치가 집계했습니다. 오늘날의 행(row)과 열(column)을 구멍 위치로 표현한 셈입니다. 매뉴얼에는 어떤 질문이 어느 열에 대응되는지 적혀 있어, 모든 조사원이 같은 규칙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었습니다.